김복동의희망 “일본군성노예 문제해결 운동과 인권운동가 모욕한 검찰 규탄”
상태바
김복동의희망 “일본군성노예 문제해결 운동과 인권운동가 모욕한 검찰 규탄”
  • 이민우 기자
  • 승인 2023.0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와 인권운동가들이 당당하게 살아가도록 함께할 것” 다짐
▲ 김복동 할머니가 2014년 5월 3일 수원시청 앞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수원평화비(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에 참석해 “우리 정부가 나서서 일본 정부의 사죄와 법적인 배상을 하게 여러분이 힘을 모아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왼쪽부터 김복동 할머니, 길원옥 할머니, 안점순 할머니. 현재 길원옥 할머니(96세)만 생존해 계신다) ⓒ 뉴스피크
▲ 김복동 할머니가 2014년 5월 3일 수원시청 앞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수원평화비(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에 참석해 “우리 정부가 나서서 일본 정부의 사죄와 법적인 배상을 하게 여러분이 힘을 모아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왼쪽부터 김복동 할머니, 길원옥 할머니, 안점순 할머니. 현재 길원옥 할머니(96세)만 생존해 계신다) ⓒ 뉴스피크

[뉴스피크] 고 김복동 할머니의 뜻을 이어 활동하는 ‘김복동의희망’은 지난 6일 성명을 내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 운동과 인권운동가들을 모욕한 검찰을 규탄한다”고 성토했다.

이날 서울서부지방법원 형사합의 11부(부장판사 문병찬)의 공판에서 검찰은 ‘김복동의희망’ 전 공동대표인 윤미향 국회의원과 김 모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관장에게 각각 징역 5년과 징역 3년을 구형했다.

윤미향 의원 등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업무상 횡령, 배임 등을 했다는 게 검찰측 주장이다.

이에 대해 ‘김복동의 희망’은 “지난 30여 년의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 운동에 대한 몰상식과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 인권운동가들의 활동을 무시한 검찰의 반인권적 민낯을 드러낸 역사로 오늘이 기록됐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우리는 2021년 8월 11일 첫 공판 이후 25차례 공판 과정을 지켜봐 왔다. ‘김복동의 희망’은 재일동포 학생들이 차별받지 않고 공부할 수 있도록 자신의 전 재산을 내놓으며 희망을 잡자는 화두를 던진 김복동 할머니의 뜻을 이어받은 단체”라며 “여기에 호응한 시민들의 후원을 검찰은 불법이라고 규정했다. 또한, 일본 정부의 차별에 맞서 마스크 보내기 운동을 펼친 것을 검찰은 기부금품법 위반이라고 주장했다”고 검찰측 주장을 비판했다.

특히 ‘김복동의희망’은 ”게다가 김복동 할머니의 동지로 재일동포 차별반대, 평화운동을 펼쳐온 ‘김복동의 희망’ 명예회장이던 길원옥 할머니의 후원이 치매를 악용한 준사기라고 논리를 쥐어짰다”며 “하지만 공판 과정에서 검찰의 논리는 억지였음이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실재로 공판 과정에서 ‘김복동의 희망’에 후원한 회원들은 모두 회원의 자격으로 총회 등에 참여할 권리를 갖고 사업을 결정했으며, 재일 조선학교 마스크보내기운동은 ‘김복동의 희망’을 비롯해 수많은 시민사회단체가 함께한 정상적이고 정당한 활동이었음이 재확인됐다.

그러면서 “길원옥 할머니는 인권·평화운동가로서 재일동포가 놓인 차별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고 일본 정부에 시정을 요구하며 재일동포 학생들이 "훌륭한 나라의 일꾼"이 되길 바라며 ‘김복동의 희망’에 후원을 한 것이라고 여러 증인이 강조했다”고 전했다.

‘김복동의희망’은 “심지어 길원옥 할머니는 명예회장으로서 ‘김복동의 희망’ 회의에 직접 참여하고 회의자료를 읽고 이해하며 사업의 방향을 조언하는 등 역할을 똑똑하게 해왔다는 증거들도 제시됐다”며 “그런데도 검찰은 "투명하지 않다", "할머니를 내세워 이용했다"는 등 ‘김복동의 희망’과 길원옥 할머니, 인권운동가들의 명예를 실추시켰다”고 질타했다.

‘김복동의 희망’은 “공판 과정에서 자신의 논리가 막히면 윽박지르기를 반복해 온 검찰의 행위를 우리는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 운동과 인권운동가들을 모욕한 검찰을 규탄한다”면서 “검찰에 의해 먹칠 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 운동이 멈추지 않고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와 인권운동가들이 당당하게 살아가도록 함께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편 윤미향 의원은 이날 최후진술을 통해 “할머니들께서 걸어오신 인권운동가의 삶이, 세계로부터 영웅으로, 희망으로 평가받던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활동이 자의식 없이 비주체적으로 활동가에게 끌려다닌 운동으로 폄훼되지 않도록, 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가 훼손당하지 않도록 도와달라”고 재판부에 부탁했다.

김 관장도 “더 이상 꺾이고 싶지 않다. 더 이상 무너지고 싶지 않다. 불명예스럽게 마감하고 싶지 않다”며 “이 길을 가고자 하는 미래세대들을 주저하게 하고 싶지 않다. 더 이상 역사부정의 목소리가 커지는 것을 보고도 듣고도 싶지 않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