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 서비스 제고가 최선의 복지”
상태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고가 최선의 복지”
  • 김동수 기자
  • 승인 2013.02.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개발연구원 교통연구실 류시균 실장, ‘계층별 통행패턴 비교’
“수도권 1인당 통행발생량, 1997년~2010년 간 연평균 4.2% ↑”

1·2인 가구와 노인 경제활동 비중 증가 등 사회구조 변화로 인구증가 없는 통행량 증가 현상이 발생하는 가운데, 달라진 통행패턴에 맞춘 교통정책을 도입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와 주목된다.

경기개발연구원 교통연구실 류시균 실장은 27일 발표된 ‘수도권 주민의 계층별 통행패턴 비교’에서 최근 13년 간 축적된 ‘수도권 가구통행실태 조사자료’의 계층?지역 간 분석을 토대로 향후 교통정책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인구는 그대로인데 통행량은 증가···이유는?

수도권 1·2인 가구는 1995년 26.2%에서 2035년 63.0%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1997년~2010년 일일 평균 1인 통행량은 1·2인 가구가 1.22통행으로 3인 이상 가구의 1.09통행에 비해 높았다.

통행발생량이 많은 1·2인 가구 증가로 수도권 1인당 통행발생량은 1997년 일일 1.1통행에서 2010년 일일 1.8통행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가구지출대비 교통비 역시 1997년 10.7%에서 2008년 11.3%로 연평균 1.1% 늘었다.

소득계층별로 보면 소득이 높을수록 통행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최고소득계층의 통행량은 최하소득계층에 비해 25% 많았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승용차, 소득이 낮을수록 도보와 버스 이용률이 높고, 특히 저소득층은 버스에서 도보로 수단을 옮긴 것으로 파악됐다.

고령화와 더불어 노인들의 경제활동비중이 늘어남에 따라 노인 1인당 통행발생량도 증가했다. 뿐만아니라 노인 운전자 비율은 1997년 0.6%에서 2010년 3.4%로 5배 이상 늘었다. 여성운전자 역시 1997년 13.4%에서 2010년 27.6%로 2배 증가했다.

수도권 광역통행은 서울, 인천, 경기 간 광역통행량 증가율은 둔화된 반면 경기도내 권역 간 장거리 통행량이 급증하고 있다. 경기도 서남권역과 동남권역 간 연평균 통행량 증가율은 22.2%로 지난 4년 간 2.2배 정도 늘었다. 서북권역과 동남권역 간 통행량의 연평균 증가율도 21.1%로 지난 4년 간 2배 이상 증가했다.

한편, 서울시민이 인천·경기도로 출퇴근 할 경우 주로 승용차를, 경기도민과 인천시민이 서울로 출퇴근 할 경우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구조 변화 고려해 장래 교통수요 예측해야

류시균 실장은 저소득층, 학생, 노인 등 사회적 약자가 주로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의 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것이 최선의 복지라는 점을 강조했다. 구체적 방안으로 광역버스의 입석문제 해소를 위한 증차와 대용량 버스도입, 시내버스의 차량 및 정류장 시설개선, 광역철도망 확충 및 고속화 등을 제시했다.

사회구조변화로 수도권 지역의 총 통행량은 인구감소가 시작되는 2030년 이후에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맞춰 교통부문의 지속적 사회간접자본 확충을 주문했다.

노인 운전자가 증가하면서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늘어난 만큼 이들을 관리하는 대책도 요구했다. 운전면허 반납제, 운전면허 적성검사 통한 고령자 운행 관리, 도로 및 교통시설물 설치기준 재정비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류시균 실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경기도내 권역 간 광역교통수요에 대응하려면 제2외곽순환고속도로를 비롯한 광역도로망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