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업기술원, 인삼뿌리썩음병 밀도진단으로 연작피해 해결
상태바
경기도 농업기술원, 인삼뿌리썩음병 밀도진단으로 연작피해 해결
  • 서창일 기자
  • 승인 2018.06.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삼밭 토양 병원균직접 분리키트 개발, 병원균 밀도 정밀도 개선

[뉴스피크] 경기도 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는 인삼 뿌리썩음병 연작 피해를 해결하기 위해 18일 전문가, 공무원 등 34명이 참가한 가운데 인삼뿌리썩음병원균 밀도진단기술 시연회를 열었다.

인삼의 뿌리썩음병은 연작으로 나타나는데 연작 2년생부터 40~50%가 발생하고 3년생이 되면 거의 대부분의 인삼에서 발생해 인삼재배 농가에 큰 피해를 입힌다.

시연회에서는 인삼뿌리썩음병 밀도진단기술에 대한 이론 교육과 인삼뿌리썩음병 원인균 밀도진단을 위한 검량기술 실습, 결과 분석 및 기술 확대보급을 위한 토의가 진행됐다.

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에서 2017년 연천과 파주지역의 200여 필지 4~5년생을 대상으로 인삼뿌리썩음병 발병율과 실린드로카폰과 푸사리움의 밀도진단을 실시한 결과, 토양 1g 당 1포자 이상의 밀도를 보인 인삼밭은 16%, 나머지 인삼 밭은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소득자원연구소에 따르면, 인삼뿌리썩음병은 토양 1g 당 100포자 이상일 경우 발병이 되지만 토양 1g 당 99포자 이하에서는 발병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농업기술원은 지난 2015년 인삼밭 토양 내의 인삼뿌리썩음병 밀도진단을 위해 ㈜코젠바이오텍과 공동연구를 추진해 2016년에 진단기술을 개발했다. 이어 2017년 농가실증 연구를 통해 효율성을 검정한 후 같은 해 8월에 특허출원을 완료했다.

김순재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그간 인삼재배농가의 숙원이었던 인삼뿌리썩음병 병원균 진단기술이 개발됐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인삼재배 현장에서 이 기술이 상용화 될 수 있도록 ‘인삼 재배적지 진단서비스 센터’설치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